장경왕후 (조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경왕후 윤씨는 조선 중종의 왕비로, 1491년에 태어나 1515년에 사망했다. 파원부원군 윤여필과 순천부부인 박씨의 딸이며, 윤임의 동생이다. 1506년 중종의 후궁으로 입궁하여 숙의가 되었고, 단경왕후가 폐위된 후 왕비로 책봉되었다. 효혜공주와 인종을 낳았으나, 인종 출산 후 산후병으로 사망했다. 능은 희릉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15년 사망 - 채수
채수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작가로, 문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폐비 윤씨의 휼양을 청하다 파직되었으나, 중종반정 가담 후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며 《설공찬전》과 《나재집》 등의 저서를 남겼고, 사후 임호서원이 건립되고 신도비가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1515년 사망 - 숙용 심씨
숙용 심씨는 조선 성종의 후궁으로, 개국공신 심덕부의 증손녀이며 경순옹주, 숙혜옹주, 이성군, 영산군을 낳았고, 1515년에 사망하여 묘표가 국내로 반환되었다. - 조선 인종 - 인성왕후
인성왕후는 조선 제12대 왕 인종의 왕비이자 반남 박씨 박용의 딸로, 세자빈 책봉 후 인종 즉위로 왕비가 되었으나 인종 승하 후 왕대비가 되었으며, 자녀는 없고 을사사화 관련자들의 복권에 힘썼다. - 조선 인종 - 숙빈 윤씨
숙빈 윤씨는 조선 인종의 후궁이자 문정왕후의 친조카로, 1537년 양제로 입궁하여 임진왜란 이전 숙빈에 봉해졌으며, 인순왕후 승하 후 불화 발원에 참여하고 언문 편지가 발견되어 한국어사 연구에 기여했다. - 1491년 출생 - 헨리 8세
헨리 8세는 1509년부터 1547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국왕으로, 여섯 번의 결혼, 잉글랜드 종교 개혁, 그리고 왕권 강화가 특징이며, 그의 통치 이후 세 명의 자녀가 왕위를 이었으나 튜더 왕조는 단절되었다. - 1491년 출생 - 자크 카르티에
자크 카르티에는 프랑스의 탐험가로, 북아메리카를 탐험하여 세인트로렌스 강을 발견하고 캐나다 지역에 대한 프랑스의 권리를 주장했으며, 세 차례의 탐험을 통해 캐나다 지명과 프랑스의 식민지 개척에 영향을 미쳤다.
장경왕후 (조선) | |
---|---|
기본 정보 | |
![]() | |
휘호 | 숙신명혜선소의숙(淑愼明惠宣昭懿淑) |
시호 | 장경(章敬) |
출생 이름 | 윤명혜 (尹命惠) |
출생일 | 1491년 8월 10일 |
출생지 | 한성 효현방 사저 |
사망일 | 1515년 3월 16일 |
사망지 | 경복궁 동궁 별전 |
매장지 | 희릉 |
가문 | 파평 윤씨 |
배우자 | 이역, 중종 |
자녀 | 효혜공주 이호, 인종 |
왕비 정보 | |
왕비 즉위 | 1506년 |
재위 시작 | 1506년 |
재위 종료 | 1515년 3월 16일 |
이전 왕비 | 단경왕후 |
다음 왕비 | 문정왕후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윤여필 |
어머니 | 순천부부인 순천 박씨 |
기타 | |
전호 | 영경전(永慶殿) |
2. 생애
1491년 (성종 22년) 윤여필과 순천 박씨 부인의 딸로 태어났다. 윤임은 오빠였다. 어머니는 소헌왕후의 친정아버지 심온의 증손녀로, 세조와 문종과는 4촌 당숙녀 관계였다. 아버지를 통해서는 문정왕후와 윤원형의 3촌 종질녀, 정희왕후의 고종질녀였다. 중종과는 정희왕후의 아버지 윤번을 고조부로 공유하여 8촌, 태종을 고고조부로 공유하여 10촌이었다.
1506년(중종 원년) 숙의(淑儀)로 중종의 후궁이 되었다. 단경왕후 폐출 후 왕비로 간택되어 같은 해 왕비가 되었다.
1511년 효혜공주를, 1515년 아들 인종을 낳았다.
2. 1. 탄생과 가계
1491년(성종 22년) 7월 6일, 한성부 호현방(好賢坊)에서 아버지 파원부원군(坡原府院君) 윤여필과 어머니 순천부부인(順天府夫人) 박씨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 대윤의 영수인 윤임은 오빠이다.장경왕후의 친가와 외가는 왕실과 이중, 삼중 혼인관계로 맺어진 명문가였다. 아버지 윤여필은 세조비 정희왕후의 오빠인 윤사윤의 손자이며 효령대군의 외증손자이다.
장경왕후와 중종은 정희왕후의 아버지 윤번의 현손들로 서로 8촌지간이며, 태종을 공통 조상으로 하는 10촌지간이다.
어머니 순천부부인 박씨는 박중선의 딸이다. 박중선은 심온의 외손자로, 소헌왕후의 조카이며 세조의 이종사촌 동생이다. 박중선의 자녀들은 각각 왕족들과 혼인하였는데, 장경왕후의 큰이모는 성종의 형인 월산대군과 혼인한 승평부부인이며, 넷째이모는 인수대비의 조카 한익과 혼인하였고, 막내이모는 예종의 아들 제안대군과 혼인하였다. 외삼촌은 중종반정을 주도한 박원종이다.
1498년(연산군 4년), 8세의 나이에 어머니를 잃고 이모이자 월산대군의 부인인 승평부부인 박씨에게 양육되었다.[2] 장경왕후의 언니인 파평현부인 윤씨는 월산대군의 서자 덕풍군 이이와 결혼하였기 때문에 덕풍군은 형부이면서 시4촌이 된다.
2. 2. 왕비 책봉
1506년(중종 1년), 중종의 후궁으로 입궁하여 내명부 종2품 '''숙의'''(淑儀)에 봉해졌다. 중종의 정비인 단경왕후가 폐위되자, 다음해인 1507년(중종 2년) 8월, 반정공신의 딸인 다른 후궁들을 제치고 왕비에 책봉되었다.[3] 당시 조정은 외숙부인 박원종이 장악하였는데, 장경왕후가 중전이 되는 데에는 외숙부 박원종의 도움이 컸으며, 월산대군의 처조카라는 신분이 장점으로 작용하였다.2. 3. 사망
1515년(중종 10년) 인종을 출산하였으나, 산후병으로 인해 출산 일주일만인 3월 2일 경복궁 동궁 별전에서 승하하였다.[4] 24세였다.시호는 '''장경'''(章敬)이며, 숙신명혜(淑愼明惠)의 휘호와 영경(永慶)의 전호(殿號)가 내려졌고 명종 대에는 선소의숙(宣昭懿淑) 등의 휘호가 추상되었다. 능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서삼릉 내에 위치한 희릉이다.[4]
3. 사후
1515년 장경왕후가 사망한 후, 중종은 1517년 파평 윤씨 윤지임의 딸과 혼인하여 훗날 문정왕후로 추존되었다. 문정왕후는 1521년 의혜공주, 1522년 효순공주, 1530년 경현공주, 1535년 명종, 1542년 인순공주를 낳았다.[1]
왕세자(훗날 인종)는 오랫동안 왕후의 정치적 보호자였으나, 훗날 왕후가 자신의 아들 명종의 미래를 위해 제거해야 할 정치적 적이 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왕후가 자신의 형제들과 아들을 죽이지 말라고 왕세자를 위협한 이야기가 나온다.[1] 왕후의 적대감은 그녀의 야망 때문만이 아니라, 윤임과 김안로의 왕후 제거 음모 때문이기도 했다.[1]
사림의 많은 사람들은 인종의 재위 기간이 9개월에 불과했던 것을 두고, 문정왕후의 아들인 성렬대비가 인종을 독살했다고 믿었으나 이를 증명할 증거는 없다.[1] 비공식적인 기록에 따르면, 수십 년간의 무관심 이후 성렬대비가 마침내 "양자"인 인종에게 애정을 보였다는 이야기가 있다.[1]
정치적 갈등 속에서 계모로부터 모성애를 받으려 했던 인종은 문정왕후가 떡을 먹여 서서히 독살했다는 추측이 있다.[1] 이로 인해 인종은 1545년 8월 7일에 죽었고, 그의 이복동생인 명종이 왕위를 계승했다.[1]
실록에는 또한 인종 사후 성렬대비가 밤마다 귀신에게 시달렸다는 이야기가 있다.[1] 괴로워하던 성렬대비는 경복궁에서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겼다.[1]
문정왕후는 아들 명종의 재위 기간 내내 왕대비로서 권력을 행사하다가 20년 후인 1565년 8월 5일에 사망했다.[1]
4. 가족 관계
아버지 | 윤여필(1466~1555) |
---|---|
어머니 | 순천부부인 순천 박씨(?~1498) |
남편 | 중종(1488~1544) |
오빠 | 윤임(1487~1545) |
언니 | 파평현부인 윤씨(1482~1536) |
언니 | 파평군부인 윤씨 |
언니 | 윤천덕(1488~?) |
여동생 | 윤씨(1498~?) |
이복 여동생 | 윤옥춘(1518~?) |
딸 | 효혜공주(1511~1531) |
사위 | 김희(1508~1531) - 김안로의 아들 |
아들 | 인종(1515~1545) |
며느리 | 인성왕후(1514~1578) |
장경왕후의 친가와 외가는 왕실과 이중, 삼중 혼인관계로 맺어진 명문가였다. 아버지 윤여필은 세조비 정희왕후의 오빠인 윤사윤의 손자이며 효령대군의 외증손자이다. 장경왕후와 중종은 정희왕후의 아버지 윤번의 현손들로 서로 8촌지간이며, 태종을 공통 조상으로 하는 10촌지간이다.
어머니 순천부부인 박씨는 박중선의 딸이다. 박중선은 심온의 외손자로, 소헌왕후의 조카이며 세조의 이종사촌 동생이다.
1498년(연산군 4년), 8세의 나이에 어머니를 잃고 이모이자 월산대군의 부인인 승평부부인 박씨에게 양육되었다.[2]
5. 장경왕후가 등장하는 작품
참조
[1]
웹사이트
중종실록 21권, 중종 10년 3월 7일 갑자 4번째기사
https://sillok.histo[...]
[2]
서적
중종실록
[3]
서적
중종실록
[4]
서적
중종실록
[5]
문서
태종의 증손녀
[6]
문서
심온의 외손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